본문 바로가기
온점 [.]/무형색색 관련

Slog vs HLG 뭐가 더 나을까?

by 무형색색 2022. 9. 28.

소니의 픽쳐프로파일인 Slog3 와 HLG3! 뭐가 더 나을까요?!

제 마음대로 결론지어봅니다!

youtube link - https://youtu.be/achiCAUF6R8

영상으로도 볼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!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영상을 찍으려고 하던 도중.. 문득 의문이 듭니다. 8비트 카메라에서 HLG가 유리한 것은 알겠는데..
10 비트 카메라에서는? HLG가 더 유리할까? HLG가 있음에도 Log촬영은 이루어지고 있다.. 왜일까?

1. 간단한 픽쳐프로파일 설명

픽쳐프로파일은 휴대폰 카메라 필터같은 개념과는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.
쉽게 설명하고자 음식으로 설명드리면
필터 = 음식소스, 픽쳐프로파일 = 조리방법
요리를 할 때 식재료 -> 조리 -> 완성 -> 소스 찍어먹기의 순서대로 진행되잖아요?
카메라는 데이터 -> 픽쳐프로파일 -> 영상 -> 필터[색보정] 순서로 진행됩니다.
픽쳐프로파일은 받아들여진 원본 데이터[LAW]가 너무 크기때문에 요래조래 가공하는 조리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즉, 필터보다 이미지 처리 과정에서 전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.

 

그 중에서 많은 DR[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넓게 찍을 수 있는 것]을 확보하는 픽쳐 프로파일은 크게 2가지
Slog3와 HLG3가 있습니다.
많이 찾아봐도 어느게 더 우월한지에 대해서는 안 나와있는데요.. 다 상황에따라서 사용하세요 - 에서 끝났습니다.
그만큼 둘의 장단점이 있고 우열을 가리기 힘든 픽쳐프로파일이라는 것을 반증하는 것 같은데요.
공동 1등은 재미없죠? 안 그런가요?
저는 우열을 제 마음대로 결정지을겁니다.

2. 비교 푸티지

 

3. 분석

3.1 밝기

Slog가 HLG에 비해서 더 어둡게 찍힙니다.
촬영 시 측광기에도 더 어둡게 찍히고 있다고 나옵니다.
동일한 조건에서 더 밝게 찍힌다는 것은 아마 어두울 때 더 잘 찍을 수 있다는 뜻이겠지요?

3.2 DR [밝고 어두운 곳을 얼마나 넓게 찍는지]

HLG3가 Slog3에 비해 더 밝게 찍히는데도 불구하고 구름부분이 더 깔끔하게 잘 살아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DR부분에서 HLG3가 더 우월해 보입니다.

3.3 색

HLG3가 조금 더 누렇게 나오네요. 그림자 부분도 더 선명하게 구분됩니다.
Slog3는 더 파랗게 나오는 것 같네요!
색은 주관의 영역이지만 제 주관으로 볼때는 Slog3가 조금 더 예뻐보입니다.

3.4 반사광[편광]

Slog3에 비해서 HLG3가 훨씬 반사광에 민감하네요.
호수를 보아도 그렇고 튜브를 보면 확실하게 차이가 나네요

3.5 피부톤

얼굴을 보면 알 수 있을거에요. 피부를 조금 더 깔끔하게 보이게 해주는 것은 Slog것 같습니다.

4. 결론

HLG가 DR도 넓고 모든 선명하게 잘 살아있고, HDR SDR 둘 다 반응형으로 호환 가능하고 최소 ISO도 더 낮고 더 밝게찍혀서 저조도에서도 더 유리하고 또한 Slog는 sony에서 제공하는 기본 Lut을 사용하는 기본 교정이 필요하고 색보정의 난이도가 더 높습니다. 난이도를 제외하더라도 색보정은 하면 할수록 픽셀값을 손상시키는 것이라서 정보값 부분에서도 HLG가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겠지요. 뭔가 기술적으로 더 진보한 픽쳐프로파일은 HDR로 보입니다.

하지만. 우리는 시청할 때 DR값이라던지 ISO라던지 그런 거 신경쓰면서 시청하지는 않잖아요? 아무것도 모르는 일반 사람들은 오죽할까요. 그냥 이쁘면 장땡입니다.

그리고 제 눈에는 Slog3가 더 부드럽고 시네틱한 느낌이 나며 색감도 그렇고 이쁘다고 보여집니다.
그에 비해서 HLG3는 뭔가 폰카같은 느낌이랄까..?

그래서 제가 뽑은 승자는
Slog3입니다.

 

긴 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!

댓글